GIS활용

QGIS 활용(표고분석)

복층인생 2023. 12. 18. 16:31

2023.08.29 - [GIS활용] - QGIS 활용(데이터 다운)

 

QGIS 활용(데이터 다운)

qgis를 활용해 표고, 경사분석을 하거나 건축물의 노후도 등을 알아내거나 인구분석을 하고자 할 때 모든 자료들은 공신력을 가진 오픈데이터를 활용해야 한다. 참고로 모든 사이트는 로그인을

koslife.tistory.com

 

qgis를 활용한 표고분석

 

표고분석에 꼭 필요한 자료는 등고수치(높이값)가 있는 등고선이다.

 

해당 데이터는 위의 링크의 3번 국토정보플랫폼에서 다운 가능하다.

 

 


 

1. 좌표 맞추기

 

좌표계는 항상 통일하는것이 좋다.

 

다른사람에게 공유하거나 공유받을때도 좌표가 통일되어있는것이 작업하기 수월하다.

 

부산을 기준으로 자주 쓰는 좌표계는 EPSG:5174, EPSG:5179, EPSG:5185, EPSG:5186, EPSG:5187 정도가 있다.

 

나는 편의상 모든 파일을 5174로 맞춰놓고 작업한다.

 

※ 데이터간 좌표계가 다르거나 데이터와 qgis프로젝트상의 좌표계(UI 우측하단에서 확인)가 다르면 기본적인 작업들이 불가능할 때가 많다.

사용하는 데이터와 프로젝트 좌표계 확인

 

필요에 따라 좌표를변경하여 저장할 때도 있다.

 

예를들어 연속지적의 좌표계가 5187인데 5174로 변환해도 안맞는 경우가 있다.

 

이럴땐 여러가지 좌표계를 돌려보며 맞춘다음 내보내기를 통해 5174로 변환하여 준다.

 


2. TIN보간

공간 처리 툴박스에서 보간 -> tin보간을 더블클릭한다.

tin보간 더블클릭

 

 

그러면 아래 사진과 같은 창이 뜨는데 순서대로 필요한 값을 넣어준다.

 

1. 벡터레이어 - 등고선 레이어를 선택

 

2. 보간 속성값 - 등고선 레이어의 속성테이블 중 등고수치가 있는 필드 선택

 

3. 보간에 Z 좌표값 이용 - 체크해준다.

 

4. 초록색 [+] 버튼을 눌러준다. (유형은 어떤걸 선택해도 결과물은 비슷하게 나온다.)

 

5. 보간 방법 - 선형으로 해준다.(클러프-토처 3차가 궁금하면 해봐도 된다.)

 

6. 범위는 미리 만들어둔 레이어/북마크 등이 있다면 선택하고

현재 화면에 맞게 설정하려면 옆의 마우스버튼을 눌러준다.

 

7. 행/열은 가만히 놔두고 픽셀 크기X를 10으로 설정하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바뀐다.

 

8. 보간 산출물을 저장할지 안할지 선택할 수 있다.(결과물을 보고 그때가서 저장하는편이 관리하기 쉽다.)

 

tin보간 설정값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흑백의 무언가가 나온다.

 

이 흑백은 표고를 나타낸 것으로 후가공을 통해 삽도용이나 기타 용도로 사용한다.

 

즉 표고의 베이스맵이다. 저장필수.

흑백의 무언가

 


 

3. 심볼작업

보간된 레이어를 저장후 더블클릭하여 속성창을 연다.

 

속성창의 심볼 탭에서 렌더링 유형을 단일 밴드 그래이에서 유사색상으로 변경해 준다.

 

심볼탭에서 최소값과 최대값을 알 수 있다.

 

 

1. 보간을 선형으로 해주고

2. 색상표에서 마음에드는 색상을 고른 뒤

3. 모드를 연속으로 두고

4. 리샘플링에서 확대 부분을 Bilinear로 해준다.

 

이 값은 개인 취향으로 다른 값으로 변경해도 무관하다.

부드러운 표현 / 각진 표현
부드러운 표현 / 각진 표현


4. 데이터 추출

1) 표고별 면적 구하기

삽도부분은 마무리가 되었고 이제 데이터를 알아볼 차례이다.

 

우선 레스터를 폴리곤으로 변환한다.

 

용량이 커서 느리다면 구역계의 범위만큼만 잘라서 진행한다.

레스터를 벡터로

 

벡터화한 산출물을 구역계로 잘라준다.

 

데이터가 필요한 레이어가 입력레이어

 

이렇게 잘라낸 산출물은 꼭 저장한다.

 

 

● 속성테이블에서 면적을 추출한다.

필드 계산기를 통해 새로운 필드를 생성한다.

필드이름은 "area"로 하고

표현식에 raund($area, 2) 를 입력한다.(소숫점 둘째자리 까지 표현한다는 뜻이다. 정밀도를 2로 한것과 같은 의미이다.)

 

면적계산 이후 편집을 종료하여 꼭 저장해준다.

 

저장한 파일 경로로 들어가 보면 폴더안에 같은 이름의 다른 확장자로 5개의 파일이 있는데

 

● 이중  dbf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엑셀로 연다.

(엑셀을 실행 후 드래그엔드롭으로 연다.)

 

그러면 아래 그림처럼 데이터가 나열되어 있는데 여기서 DN값이 표고 값이고 area값이 방금 만들어준 면적값이다.

 

필터를 통해 정렬한다.

 

엑셀을 통해 얻어내고자 하는 값은 각 표고별 면적이다.

 

즉 40~60m의 면적, 60~80m의 면적인데 편한 방법으로 구하면 된다.

 

구역계에 맞는 범례를 정한 뒤(qgis에서의 범위는 항상 ㅇㅇ초과 ~ ㅇㅇ이하 이다.)

 

엑셀에서 편한 방법으로 면적을 더해주면 된다.


2) 평균표고 구하기

표고별 면적을 구했으면 평균표고도 엑셀로 구할 수 있다.

 

(표고*면적)의 합을 총 면적으로 나눠주면 된다.

 

하지만 함수 걸기도 귀찮고 값이 이상하면 다시 검사하기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이것을 qgis로 한번에 쉽게 구할수 있다.(약간의 오차가 있다)

 

 

공간 처리 툴박스에서 래스터 분석의 구역 통계를 더블클릭

 

입력레이어에는 구역계 레이어,

 

래스터 레이어에 표고레이어를 입력한다.

 

 

완료된 결과물의 속성테이블을 열어 보기방식을 양식 보기로 전환하면 보기 편하다.

 

 

이렇게 몇 초 만에 평균 표고가 구해진다.